백준 (코테)
23. 쇠막대기(10799), 오큰수(17298)
코딩의 세계
2024. 9. 11. 18:29
문제.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다. -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는다.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는다.
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준다.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 점은 레이저의 위치,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이다.
답:
n= input()
stack=[]
cnt = 0
for i in range(len(n)):
if n[i] == "(":
stack.append("(")
else :
if n[i-1]=="(":
stack.pop()
cnt+=len(stack) # 첫 번째 경우인 현재의 쇠막대기들을 카운팅합니다.
else :
stack.pop()
cnt+=1 # 이 부분은 두 번째 경우인 나머지 부분을 세는 것입니다.
print(cnt)
- '('가 나타날 때마다 스택(Stack)에 push한다.
- ')'가 나타날 때, 스택(Stack)의 top이 '('인 경우 레이저가 있다는 의미이므로, 스택(Stack)에서 '('를 pop 하고 스택(Stack)에 남아있는 '('의 개수를 정답에 더해준다.
- ')'가 나타날 때, 스택(Stack)의 top이 '('가 아닌 경우, 닫는 괄호 ')'에 대응하는 여는 괄호가 없다는 의미이므로, 스택(Stack)에서 ')'를 pop하고 정답에 1을 더해준다.
(참고로 n은 입력받은 폼이 되어주고, for문의 조건이 되어준다.)
문제.
크기가 N인 수열 A = A1, A2, ..., AN이 있다. 수열의 각 원소 Ai에 대해서 오큰수 NGE(i)를 구하려고 한다. Ai의 오큰수는 오른쪽에 있으면서 Ai보다 큰 수 중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수를 의미한다.
그러한 수가 없는 경우에 오큰수는 -1이다.
예를 들어, A = [3, 5, 2, 7]인 경우 NGE(1) = 5, NGE(2) = 7, NGE(3) = 7, NGE(4) = -1이다. A = [9, 5, 4, 8]인 경우에는 NGE(1) = -1, NGE(2) = 8, NGE(3) = 8, NGE(4) = -1이다.
답:
N = int(input())
lis = list(map(int,input().split()))
result = [-1] * N
stack = []
for i in range(N):
while stack and lis[i]>lis[stack[-1]]: # Step 2부분
result[stack[-1]]=lis[i] # Step 2 부분
stack.pop() # Step 3 부분
stack.append(i) # Step 1 부분
print(*result)
- 스택에 인덱스를 저장한다.
- 스택의 마지막 인덱스가 현재 인덱스의 값보다 작은 경우, 스택에서 마지막 인덱스를 꺼내서 해당 인덱스의 결과 값을 현재 인덱스의 값으로 경신한다.
- 스택에서 마지막 인덱스를 꺼낸다.
요약:
- 스택을 사용하여 리스트의 각 원소에 대해 오른쪽에 있는 더 큰 값을 효율적으로 찾는다.
- 오른쪽에 더 큰 값이 없으면 기본값 -1을 유지한다.
참고로 *result이란 result 리스트의 요소를 공백을 구분자로 출력하는 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