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 온 레일즈

루비 온 레일즈 설치 및 프로젝트 세팅

코딩의 세계 2025. 7. 24. 19:04

공식 사이트에서 프로젝트를 세팅하는 방법을 디테일하게 알 수 있음 >

https://guides.rubyonrails.org/install_ruby_on_rails.html

 

Install Ruby on Rails Guide — Ruby on Rails Guides

Install Ruby on Rails GuideThis guide will walk you through installing the Ruby programming language and the Rails framework on your operating system.While your OS might come with Ruby pre-installed, it's often outdated and can't be upgraded. Using a versi

guides.rubyonrails.org

기본적으로 루비 온 레일즈를 쓰고 싶다면, 그전에 루비를 설치해야 함. 
(순서: 루비 > 루비 온 레일즈)


Mac OS

홈브루가 없으면 홈브루부터 설치하자. 이게 있어야 앞으로 패키지 등을 잘 관리할 수 있다.

https://brew.sh/

 

Homebrew

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or Linux).

brew.sh

사이트 들어가서 명령어를 터미널에 기입하면 설치할 수 있다. 이후 rbenv을 설치해서 차례대로 루비와 루비 온 레일즈를 설치하면 된다.

# Install Xcode Command Line Tools
$ xcode-select --install

# Install Homebrew and dependencies
$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 echo 'export PATH="/opt/homebrew/bin:$PATH"' >> ~/.zshrc
$ source ~/.zshrc
$ brew install openssl@3 libyaml gmp rust

# Install Mise version manager
$ curl https://mise.run | sh
$ echo 'eval "$(~/.local/bin/mise activate)"' >> ~/.zshrc
$ source ~/.zshrc

# Install Ruby globally with Mise
$ mise use -g ruby@3

(루비의 경우 mise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설치하다 에러 뜨면 그거 복사해서 gpt에게 물어보면 잘 대답해 줌)


윈도우

윈도우에서는 wsl를 이용해서 우분투를 설치해 줘야 잘 돌아간다.

(개발 환경 세팅 측면에서는 맥 os가 확실히 더 편하다.)

wsl --install --distribution Ubuntu-24.04

위 명령어로 우분투를 설치하자. 참고로 이 명령어는 파워쉘을 관리자 권한으로 열고 그 창에 입력해야 돌아간다.

# Install dependencies with apt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build-essential rustc libssl-dev libyaml-dev zlib1g-dev libgmp-dev

# Install Mise version manager
$ curl https://mise.run | sh
$ echo 'eval "$(~/.local/bin/mise activate bash)"' >> ~/.bashrc
$ source ~/.bashrc

# Install Ruby globally with Mise
$ mise use -g ruby@3

이후 우분투를 설치한 이후에 위 명령어를 차례대로 기입하면 된다.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

다음 명령어로 버전이 잘 뜨면 루비는 잘 설치가 된 것이다.

ruby --version
ruby 3.3.6

버전은 살짝 다를 수 있지만, 어쨌든 저렇게 버전이 뜨면 된다. (최신 버전으로 아마 설치될 거임)

이제 rails를 설치해 보자. 밑의 명령어를 기입하자.

gem install rails

이후 레일즈의 버전을 확인하고 밑에 처럼 레일즈 버전이 뜨면 잘 된 것이다.

$ rails --version
Rails 8.0.0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싶다면 먼저 위에서 루비와 루비 온 레일즈를 세팅하면 된다. 이후에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단 먼저 vs code의 터미널 혹은 자신의 터미널을 킨다.

이후 자신의 작업 폴더로 이동하고 다음 명령어를 기입한다.

rails new my_first_app

혹은...

rails new myblog -c tailwind

new 뒤에 오는 게 당신의 프로젝트 이름이다. 즉, rails new가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프로젝트 이름은 영문 소문자, 숫자, _ 기호를 권장한다. 한글로 짓는 건 피하자.)

참고로 프로젝트를 쓰고, 뒤에 -c tailwind를 해주면, tailwind 최신 버전으로 스타일링을 깔아준다. 

그리고 명령어를 설치하면 다음 처럼 터미널이 쭈르륵 뜬다.

rails new my_first_app
   create
   create  README.md
   create  Rakefile
   create  .ruby-version
   create  config.ru
   create  .gitignore
   create  .gitattributes
   create  Gemfile
...
   Created sample hooks in .kamal/hooks
          force  .kamal/secrets
          force  config/deploy.yml
          rails  solid_cache:install solid_queue:install solid_cable:install
         create  config/cache.yml
         create  db/cache_schema.rb
           gsub  config/environments/production.rb
         create  config/queue.yml
         create  config/recurring.yml
         create  db/queue_schema.rb
         create  bin/jobs
           gsub  config/environments/production.rb
         create  db/cable_schema.rb
          force  config/cable.yml

위 명령어를 기입하면 알아서 레일즈가 프로젝트에 필요한 폴더와 파일을 만들어준다.

이러면 기본적인 레일즈는 설치가 되었다.

이후.. 

   cd my_first_app

cd 명령어를 이용해서 자신의 디렉토리로 간다. (무조건 일단 디렉토리로 이동해야 서버를 킬 수 있다.)

이후 다음 명령어로 레일즈의 서버를 킨다.

rails server

혹은

rails s
./bin/dev

(테일윈드로 프로젝트를 설치했을 시..)

이후 터미널에 Booting Puma 어쩌고 하면서 서버가 켜진다.

웹 브라우저를 열고 터미널에 있는 로컬 호스트 링크를 주소창에 입력하거나 (혹은 컨트롤 클릭)을 해서 서버를 켜면 된다.

테일윈드로 프로젝트가 빌드되면, rails s가 아니라 ./bin/dev 라는 명령어로 실행해줘야 에러가 안 난다. 참고바란다.

서버를 열면 뜨는 창

위 모양으로 뜨면 성공!

서버 종료

서버를 종료하고 싶다면 컨트롤 + C를 눌러서 끄면 된다. (윈도우,맥,리눅스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