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깃&깃허브

깃허브 포크 (Fork)하는 방법

by 코딩의 세계 2025. 4. 1.

토스의 toolkit

깃허브의 오픈 소스에 기여하고 싶거나, 혹은 관련 코드를 가져와서 자신만의 오브젝트를 디벨롭할 때 많이 쓰이는 "Fork".

일단 포크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Fork는 
다른 사람의 원격 저장소를 복제해서 내 저장소를
따로 만드는 방법
이다.

 

쉽게 말하면, 복제하고 내 저장소로 따로 가져오는 것.

자, 그럼 어떻게 하는 것일까? (많이 쉬움)

TMI > 그리고 Clone도 있는데 차이는 무엇일까? 다음 글을 참고하자.

https://ittrue.tistory.com/90

 

[Git / Github] 포크 (Fork) 하는 방법 (오픈 소스 프로젝트 복제하기)

Fork란?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공부하거나 Contributors가 되고 싶을 때, 해당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를 자신의 원격 저장소로 복사할 수 있다. 이를 Fork라 한다. 깃허브의 경우 공개된 모든 자료

ittrue.tistory.com


https://www.jeong-min.com/46-clone-fork/

 

개발자 단민 | Git clone과 fork, 뭘 써야할까?

Git으로 협업을 하고 있다면 당연히 써봤을 clone과 fork 기능! 프로젝트 초기에 그라운드 룰을 정할 때면 항상 하게 되는 고민이 있다. 🤷‍♂️ 클론받아서 피쳐별로 브랜치 파서 main으로 PR 올릴

www.je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