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ventional commits (커밋 메세지 작성 가이드라인) 깃허브에 commit을 남길 때, 다들 어떤 식으로 남기는가? 자신만의 규칙이 있는가? 아님 그냥 되는대로, 느낌대로?나의 경우는 "느낌"대로 올리는 것 같다. 물론 commit에는 내가 올린 기능에 대한 설명을 남기는 부분이지만, 그 "규칙"이라는 것에서는 느낌대로 올린다.이때, 사실 commit를 올리는 것에 정답은 없다. 그러나 일정한 프로덕트를 만드는 프로젝트에서는 이 commit 규칙이 필요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깃 협업의 흐름도 정해져야 한다.)이때 쓰이는 스펙이 "conventional commits"이다.conventional commits 이란?일단 공식 문서의 링크는 다음과 같다.https://www.conventionalcommits.org/en/v1.0.0/ Conventiona.. 2025. 4. 5. 깃 특정 부분 add 하는 방법 지금까지 그냥 git add .으로 모든 코드를 올리고 commit를 남겼다면, "특정 부분"만 add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하는 방법은 되게 쉽다.)https://infinitecode.tistory.com/64 [Git] 특정 파일 혹은 폴더만 add하기당황하지않고 git Master가 되는 그 날까지. 지금껏 작업한 내용물을 add처리 할 때 뒤따라오는 경로를 .으로 하여 모든 수정내역들을 Staging Area로 이동하기만 했습니다. 그런데 특정 파일 혹은 폴더infinitecode.tistory.com https://70825.gitbook.io/git-tutorial/add-commit-push-deep/add-unit-file-and-folder 특정 파일/폴더만 add 하기 | Git T.. 2025. 4. 2. 깃허브 포크 (Fork)하는 방법 깃허브의 오픈 소스에 기여하고 싶거나, 혹은 관련 코드를 가져와서 자신만의 오브젝트를 디벨롭할 때 많이 쓰이는 "Fork".일단 포크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Fork는 다른 사람의 원격 저장소를 복제해서 내 저장소를 따로 만드는 방법이다. 쉽게 말하면, 복제하고 내 저장소로 따로 가져오는 것.자, 그럼 어떻게 하는 것일까? (많이 쉬움)TMI > 그리고 Clone도 있는데 차이는 무엇일까? 다음 글을 참고하자.https://ittrue.tistory.com/90 [Git / Github] 포크 (Fork) 하는 방법 (오픈 소스 프로젝트 복제하기)Fork란?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공부하거나 Contributors가 되고 싶을 때, 해당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를 자신의 원격 저장소로.. 2025. 4. 1. 깃허브 ReadMe.md에 이미지 올리는 법 깃허브 이슈를 통해 이미지를 올리는 방법https://aiday.tistory.com/83 [Github] 깃허브 README.md에 이미지 올리기 (feat.Issue)README.md readme.md 파일은 깃허브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소개와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파일입니다. 깃허브 프로젝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위치하며, 프로젝트에 대한 간략한 설명, 사용법, 설치 절차,aiday.tistory.com 2025. 2. 7. 깃허브 라이센스 추가하는 방법 내 삼식아 프로젝트에 MIT 라이선스를 추가했다.그 방법은?https://blog.naver.com/dhdh6190/221145291899 github repository에 라이센스 추가하는 법이번에도 매번 까먹어서 또 검색을 하고 있는 내 모습을 발견하고 글을 쓰게 되었다. 라이센스 추가하는 법...blog.naver.com위 글을 참고하자.+ 추가 글라이센스 같은 건 코드 push를 하고 난 뒤에 추가하는 것을 추천한다.라이선스 추가 이후다시 vs code로 가서, git pull --rebase origin maingit push origin main를 넣어주면 에러가 안 뜬다. (master이면 master로 바꿔주면 된다.) 2025. 2. 7. 깃허브 - REDEME 꾸미기 깃허브에 작성되는 REDEME.md 파일을 꾸밀 수 있다. 여러 방법이 있는데, 밑의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사실 별 거는 아니지만, 그래도 이쁘게 꾸미면 소위 "간지"가 난다.https://yoon990.tistory.com/38 [Github] ReadMe 리드미 꾸미기 (및 매우 소소한 팁들)그동안 하고 싶었던 깃허브 리드미를 드디어 간단하게 꾸며봤다. 나도 여러개의 블로그를 보면서 꾸민거라서 수정할 때 언제든지 볼 수 있도록 정리하려고 한다. 우선 리드미를 꾸미기 전에 가yoon990.tistory.comhttps://whkakrkr.tistory.com/m/entry/Github-Readme-%EA%BE%B8%EB%AF%B8%EA%B8%B0-%EC%B4%9D%EC%A0%95%EB%A6%AC-%F.. 2024. 11. 22. 깃 충돌 해결법 개발자끼리 깃, 깃허브로 그룹 프로젝트를 하거나 혹은 회사에서 협업을 할 때에 깃허브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머지"를 이용해서 코드를 합치게 될 건데, 이러한 방향성에서 깃이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이때 깃 충돌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그리고 코드를 어떻게 짜야 깃 충돌을 피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영상이다.https://youtu.be/PGQIJE4tHAs?si=drhHJpdoz_yTklmi(출처: 코딩알려주는 누나) 2024. 11. 15. 깃허브로 그룹 프로젝트 본인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그냥 본인 편한 데로 깃허브 만들고, 깃도 만들고 하면 된다. 하지만 "그룹"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면 일종의 "약속"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깃허브로 코드를 저장하고 이슈를 다룰 것이 뻔한데.. 이에 대한 영상을 여기에 올려본다.https://youtu.be/tkkbYCajCjM?si=bJ5rjCU136uz_wWXhttps://youtu.be/EV3FZ3cWBp8?si=eiBHW-meYkh_xxT-(코딩 애플) - git workflow 2024. 11. 13. 깃허브 협업 가이드라인 https://github.com/devAon/Eclipse-GitHub-Coraboration-Tutorial GitHub - devAon/Eclipse-GitHub-Coraboration-Tutorial: 🍒 초심자를 위한 Github 협업 방법 튜토리얼 (with Eclipse)🍒 초심자를 위한 Github 협업 방법 튜토리얼 (with Eclipse). Contribute to devAon/Eclipse-GitHub-Coraboration-Tutorial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초심자를 위해서 작성해주셨는데, 티스토리에 공유해본다. 2024. 11. 12. 깃 / 깃허브이란? 사용방법은? https://youtu.be/lelVripbt2M?si=rO114iJ3vr_uhnh- 프로젝트를 위해서는 깃과 깃 허브는 필수이다. (개발을 위해서도 그냥 필수임)https://hackmd.io/@oW_dDxdsRoSpl0M64Tfg2g/ByfwpNJ-K Git 명령어 총정리집 (by 코딩알려주는 누나❤) - HackMD# Git 명령어 총정리집 (by 코딩알려주는 누나❤)  안녕하세요 여러분 :)hackmd.io(코딩알려주는 누나 / git 명령어 총정리집 참고)> 코드를 요약하자면..// main Branches 으로 올릴 때.git add .git commit -m "하고 싶은 말 적기"git push.. 2024. 7.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