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스크립트에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타입이 존재하고, 그 안에 원시타입과 리터럴타입이 존재한다.
일단 코드는 다음과 같다.
// number
let num1: number = 123;
let num2: number = -123;
let num3: number = 0.123;
let num4: number = -0.123;
let num5: number = Infinity;
let num6: number = -Infinity;
let num7: number = NaN;
// string
let str1: string = "hello";
let str2: string = "hello";
let str3: string = `hello`;
let str4: string = `hello ${num1}`;
// boolean
let bool1: boolean = true;
let bool2: boolean = false;
// null
let null1: null = null;
// undefined
let unde1: undefined = undefined;
// 리터럴 타입
// 리터럴 -> 값
let numA: 10 = 10;
let strA: "hello" = "hello";
원시타입이란 하나의 값만 저장하는 타입이다. number / string / boolean / null / undefined 가 있다.
number는 숫자이고, string은 문자. boolean은 참과 거짓, null과 undefined는 값을 알 수 없을 때 사용한다.
또한, 리터럴 타입이라는 것도 있다.
이건 "값" 그 자체를 타입으로 쓰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이라는 값 그 자체로 정의하면, 그 값 빼고는 다른 값을 넣을 수 없다.
참고로, 리터럴은 "값"이라는 뜻이다.
'프론트 엔드 > Type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입스크립트의 객체를 다루는 방식 (1) | 2025.04.10 |
---|---|
타입스크립트의 배열과 튜플 (1) | 2025.04.09 |
타입스크립트의 동작원리 (0) | 2025.04.03 |
타입스크립트는 무엇인가? (0) | 2025.04.02 |
한 입으로 먹는 타입스크립트 (8)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