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을 예시로 들어보자. 게시판의 대표적인 기능에는 글을 읽고 글을 생성하고 글을 수정하고 글을 삭제할 수 있는.. 말 그대로 CRUD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이 기능들은 사실상 "모든 서비스"에 적용이 된다고 해도 다름이 없다. 물론 필수는 아니고, 서비스마다 다른 기능들이 더 중요한 경우도 있다.
만일 정석적인 CRUD가 있는 게시판을 구현하고 싶거나, 혹은 그런 "코드"들을 정석적으로 배우고 싶다면, 루비 온 레일즈에서 지원해 주는 "스카폴드"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물론 실무에선 애초에 더 다양하고 디테일한 기능들을 집어넣기에, 실무에서는 스카폴드를 전혀 안 쓴다. 다만 crud 코드를 잘 배우고 싶다면 딱이다.)
여기에서 Scaffold 란?
CRUD 기능 자동 생성: Model, View, Controller, Route, Migration 빠른 개발, 학습 도구를 도와준다.
명령어 >
명령어는 되게 심플하다. 다음 명령어를 터미널에 기입하자. (프로젝트를 만든 이후에 > 프로젝트 생성은 rails new 어쩌고 저쩌고)
rails generate scaffold Post title:string content:text
이러면 기본적인 CRUD가 되는 게시판같은 프로덕트를 바로 만들 수 있다.
이제 로컬 호스트 3000번으로 들어가면 다음 처럼 화면이 나온다.
처음 들어가면 위 처럼 에러가 뜨는데, 걱정하지 말고, 위에 Run pending migrations를 누르면 된다.
(이건 아직 우리 데이터베이스가 마이그레이션이 안되었기에 에러가 뜬 것!)
이후 우리가 아는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그다음, 주소창 로컬 호스트 뒤에 posts를 넣으면 기본적인 게시판 화면이 나오게 된다.
(추가적으로 ai에게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더 디테일하게 파악하게 하고 싶다면 schema.rb 파일을 읽게 만들어주면 된다.)
'루비 온 레일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비 온 레일즈의 데이터베이스 살펴보기 (1) | 2025.07.26 |
---|---|
루비 온 레일즈의 핵심. "MVC" 패턴 (3) | 2025.07.25 |
루비 온 레일즈 프로젝트의 폴더 구조 (2) | 2025.07.25 |
루비 온 레일즈 설치 및 프로젝트 세팅 (6) | 2025.07.24 |
Ruby on Rails란 (4)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