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스테이징이란, 작업 중인 파일에서 커밋(commit)할 내용을 선택하여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이라는 임시 공간에 올려놓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을 통해 개발자는 어떤 변경 사항을 다음 커밋에 포함시킬지 명시적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git add 명령어를 사용해 스테이징 영역에 파일을 추가한다.
스테이징의 목적 및 과정 >
-
1. 변경 사항 선택:작업 디렉토리에서 여러 파일에 걸쳐 작업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특정 파일이나 변경된 부분들만 커밋에 포함시키고 싶을 때 스테이징을 사용합니다.
-
2. git add 명령어:git add 명령어를 통해 특정 파일 또는 전체 변경 사항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
3. 커밋 준비: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파일들은 커밋(commit)할 준비가 된 상태이며, '커밋할 수 있는 영역'이 됩니다.
-
4. 커밋:git commit 명령어를 실행하면 스테이징 영역에 있는 내용들이 하나의 버전으로 기록되어 로컬 저장소에 저장됩니다.
스테이징의 장점
-
명확한 버전 관리:여러 변경 사항 중 커밋할 특정 작업들을 선택함으로써 프로젝트의 버전 기록을 더욱 체계적이고 의미 있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유연성:한 번에 모든 변경사항을 커밋하지 않고, 논리적인 단위로 묶어서 커밋할 수 있어 유연하게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스테이징은 '커밋할 준비를 하는 단계'로, 작업 내용 중에서 다음에 저장될 버전에 포함할 내용들을 미리 모아두는 과정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Git] Staging Area란? commited, modified, staged 상태 - Git 기초(2)
Git은 파일을 Commited, Modified, Staged 이렇게 세 가지 상태로 관리한다. 각 상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Commited : 데이터가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안전하게 저장됨 Modified : 수정한 파일을 아직 로컬 데
code-lab1.tistory.com
[Git] 깃 기본편(2): 스테이징 영역, 커밋 (Staged, Commit, Status, Add, Log)
Staging area 깃의 스테이징 영역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이전 글에서 우리는 local repository(로컬저장소)에서 했던 작업 내용들을 remote repository(원격저장소)에 반영을 해봤다. 한번 반영된 내용은
ordo.tistory.com
'깃&깃허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허브 메인 언어 설정하는 방법 (5) | 2025.08.16 |
---|---|
깃허브 오가니제이션 만들기 (0) | 2025.06.13 |
깃 명령어 모음집 (0) | 2025.05.23 |
깃허브 레포지토리의 Public / Private 전환 (0) | 2025.05.04 |
conventional commits (커밋 메세지 작성 가이드라인) (1)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