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깃&깃허브

깃허브 bump이란

by 코딩의 세계 2025. 10. 4.

깃허브 "범프(Bump)"는 프로젝트의 버전 번호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고, 변경 사항을 기록한 커밋 및 태그를 생성하며, GitHub에 릴리스를 만드는 일련의 자동화된 과정을 의미한다. 
 
'bump'라는 단어 자체가 '치다', '밀어 올리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듯이, 프로젝트의 버전 번호를 '밀어 올리는(bump)' 작업에서 유래했다.
 
주요 기능 
 
  • 버전 업데이트 자동화
    프로젝트의 package.json 파일 등에서 버전 번호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변경 로그 생성
    새로운 버전의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기록하여 변경 로그(changelog)를 생성하고 업데이트합니다.
  • 커밋 및 태그 생성
    버전 업데이트를 위한 커밋을 만들고, 해당 커밋에 대한 Git 태그를 생성합니다.
  • 릴리스 생성
    생성된 태그를 기반으로 GitHub에 릴리스를 생성하고, 변경 로그를 릴리스 노트로 활용합니다.
사용되는 도구 및 방식
  • Bump (wader/bump)
    버전 추적 및 업데이트를 자동화하는 일반적인 도구로, GitHub 액션과 함께 사용될 수 있습니다. 
     
  • Bump (fabiospampinato/bump)
    프로젝트 버전 업데이트, 변경 로그 생성, 커밋, 태그 생성, GitHub 릴리스 생성 등을 포함하는 좀 더 포괄적인 도구입니다. 
     
  • wader/bump와 같은 Bump 도구를 GitHub 액션과 연동하여 버전을 업데이트하고, 릴리스를 자동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시)
프로젝트에서 릴리스를 진행할 때, Bump 도구나 GitHub 액션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1. 최신 버전의 커밋을 확인합니다.
  2. package.json 파일의 버전 번호를 업데이트합니다.
  3. 새로운 버전의 변경 사항을 기반으로 변경 로그를 업데이트합니다.
  4. 버전 업데이트 커밋을 생성하고 v1.0.0과 같은 Git 태그를 생성합니다.
  5. 생성된 태그를 사용하여 GitHub에 릴리스를 생성합니다.

관련 깃 액션 공식 글

https://bump.sh/blog/bump-github-actions/

 

Bump: GitHub Actions · Bump.sh

Bump: GitHub Actions Tutorial 04/02/2021 4 minutes read

bump.sh

 

'깃&깃허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 이슈로 협업하기  (0) 2025.11.12
깃 stash이란  (0) 2025.10.22
깃의 스테이징 개념  (13) 2025.08.27
깃허브 메인 언어 설정하는 방법  (5) 2025.08.16
깃허브 오가니제이션 만들기  (0) 2025.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