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깃&깃허브

깃 stash이란

by 코딩의 세계 2025. 10. 22.

 

git stash는 아직 커밋하지 않은 변경사항을 임시로 저장하고 작업 디렉토리를 깨끗한 상태로 되돌리는 Git 명령어이다. 
git stash를 사용하면 다른 작업을 하다가 필요할 때 나중에 변경 사항을 다시 적용할 수 있다. 
이 명령어는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으며, git stash list로 목록을 확인하고 git stash pop 또는 git stash apply 명령어로 저장한 내용을 다시 가져올 수 있다. 
 
주요 git stash 명령어 >
  • git stash: 또는 git stash push: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변경 사항(스테이지드 및 언스테이지드 모두)을 스택에 저장하고, 작업 디렉토리를 마지막 커밋 상태로 되돌립니다. 
     
  • git stash list: 저장된 모든 스태시 목록을 보여줍니다. 
     
  • git stash apply: 가장 최근 스태시를 현재 작업 디렉토리에 적용합니다. 스태시는 삭제되지 않고 목록에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 git stash pop: 가장 최근 스태시를 적용한 후, 해당 스태시를 목록에서 삭제합니다. 
     
  • git stash apply stash@{<숫자>}: 특정 번호의 스태시를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git stash apply stash@{2}`는 세 번째 스태시를 적용합니다. 
     
  • git stash clear: 저장된 모든 스태시를 삭제합니다. 
     
  • git stash -u: 추적되지 않는 파일(untracked files)까지 함께 스태시합니다. 

관련 글

https://git-scm.com/book/ko/v2/Git-%EB%8F%84%EA%B5%AC-Stashing%EA%B3%BC-Cleaning

 

Git - Stashing과 Cleaning

작업하던 저장소가 완전 지저분해져서 Git에게 진짜로 강제로 정리하도록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Git 버전관리 데이터가 포함된 디렉토리를 복사해왔거나 서브모듈 디렉토리

git-scm.com

(공식문서)

https://wikidocs.net/17169

 

05. git stash

## 1. git stash - 작업 도중 커밋을 할 수는 없는 상태지만, 브랜치 전환을 하거나 커밋 변경을 해야할때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명령어 - `commit`되기 …

wikidocs.net

(위키 독스)


관련 영상

https://youtu.be/mhZkl7PQBg4?si=aoOgqOBmvCSHr-9f


https://youtu.be/ArNd5sSwD04?si=RoN5pQZaXU680pa1

 

'깃&깃허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 이슈로 협업하기  (0) 2025.11.12
깃허브 bump이란  (0) 2025.10.04
깃의 스테이징 개념  (13) 2025.08.27
깃허브 메인 언어 설정하는 방법  (5) 2025.08.16
깃허브 오가니제이션 만들기  (0) 2025.06.13